여행·산행·야생화/야생화 여행

통영 연화도에서 만난 야생화

날마다 추억 2019. 3. 18. 18:23

2019년 3월 17일

통영 연화도 트레킹

영주산악회





동백나무

분류 상록 활엽 교목
학명Camellia japonica
분포지역 울릉도, 제주도, 남해안 섬 지방
자생지역 산지, 해안, 마을 부근
번식 열매·분근·꺾꽂이·접목
약효 부위 잎·꽃·열매
생약명 산채(山菜)
7~10m
차나뭇과
채취기간3월(잎·꽃), 가을(열매)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차며, 쓰다.
독성여부 없다.
1회 사용량 잎·꽃·열매 4~6g
주의사항 많이 쓰면 이롭지 않다.
동속약초 뜰동백·애기동백·흰동백·섬동백


================================================================================


다른 나무를 휘감고 올라가는 식물도 있습니다.

그러나 상대 나무를 죽게 하지는 않는 같습니다.


송악



송악


분류 상록 활엽 덩굴나무
학명Hedera rhombea
분포지역 인천·울릉도 이남의 바닷가
자생지역 바닷가의 산기슭
번식 분주·씨
약효 부위 뿌리줄기·잎·열매
생약명 상춘등(賞春藤)
10m 정도
두릅나뭇과
채취기간 가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서늘하며, 쓰다.
독성여부 없다.
1회 사용량5~7g
주의사항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송악은 눈보라 치는 매서운 추위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늘푸른 덩굴나무다. 따뜻한 남쪽 섬 지방과 서남해안을 따라 인천 앞바다까지 흔하게 자란다. 그러나 내륙으로는 고창 선운사 일대가 자랄 수 있는 북쪽 끝자락이다.

선운사 주차장 옆 선운천 건너편에는 천연기념물 367호로 지정된 송악 한 그루가 절벽에 붙어 자라고 있다. 이 송악은 굵기는 물론 나무 길이와 나이까지 모두 우리나라 최고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작은 절벽의 아래쪽에 뿌리를 박고 절벽을 온통 뒤덮고 있다. 줄기는 지난 세월의 험난함을 말해주듯 아래서부터 구불구불하게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있다. 바위에 오랫동안 붙어 있다 보니 색깔마저 바위를 닮아버린 줄기는 이리저리 용트림으로 이어간다. 땅 위 약 5미터 정도부터 비로소 가지가 나와 잎 달림을 한다. 갈래줄기를 합친 땅에 닿은 밑 둘레는 0.9미터이고, 뿌리에서부터 절벽 꼭대기까지 걸쳐 있는 나무의 길이는 약 15미터이며, 가지가 퍼져 있는 너비는 12.8미터에 이른다.


===================================================================


여기도 새 생명이 자라고 있네요.


====================================================================

줄딸기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산딸기속
서식지 산의 햇볕이 잘 드는 숲
학명Rubus oldhamii Miq.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일본


====================================================================



별꽃

학명Stellaria media
분포지역 전국 각지
자생지역 산과 들
번식 분주·씨
약효 부위 온포기
생약명 번루(繁縷)
30cm 정도
석죽과
생활사 두해살이풀
채취기간5~8월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평온하며, 달고 약간 짜다.
독성여부 없다.
1회 사용량20~30g
주의사항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쇠별꽃의 온포기


=======================================================================


큰방가지똥


큰방가지똥


                                        


                                    

1년 또는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40~120cm 정도로 가지가 갈라진다. 둥근 줄기는 굵고 속이 비어 있으며 줄이 있고 남색이 도는 녹색으로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근생엽은 모여 나고 어긋나는 경생엽은 길이 7~21c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밑부분이 줄기를 감싸며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날카롭고 불규칙한 톱니가 가시처럼 보인다. 잎 표면에 윤기가 있다. 6~10월에 산형으로 달리는 두상화는 지름 1~2cm 정도로 설상화로 구성되며 황색이다. 수과는 길이 3mm 정도의 난상 타원형으로 3개의 능선과 백색의 관모가 있다. ‘방가지똥’과 달리 잎이 줄기에 달리는 곳은 둥근 이저로 되며 잎 가장자리의 가시는 굵고 수과의 옆줄은 뚜렷하지 않다. 어린순을 식용하며 사료용으로 이용한다.

    
방가지똥
학명Sonchus oleraceus
분포지역 전국 각지
자생지역 들이나 길가
번식
약효 부위 온포기
생약명 고거채(苦苣菜)
30~100cm
국화과
생활사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채취기간 여름~가을
취급요령 날것 또는 그늘에 말려 쓴다.
특징 차며, 쓰다.
독성여부 없다.
1회 사용량6~12g
주의사항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나무가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왜?